company

종목 소개

승부의 순간이 쌓여간다

팬과 연맹이 한 걸음 더 가까워진다.

경기와 선수, 그리고 팬 모두가 신뢰하는 명확한 규칙이 스포츠의 가치를 완성한다.

휠체어농구

휠체어농구 역사

장애인 스포츠의 꽃이라 불리는 휠체어농구는 Ludwig Guttmann경이 1944년 영국 에일즈베리市 스토크맨드빌 병원에서 2차 대전 부상자들을 대상으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46년 미국에서 미국휠체어농구협회(NWBA: National Wheelchair Basketball Association)가 결성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장애인의 올림픽 경기인 패럴림픽(Paralympic)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것은 1964년 동경 패럴림픽 대회였다.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에서 97개국이 휠체어 농구를 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싱가폴 등 2000년도 들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1984년 삼육재활원 휠체어농구팀이 처음 창단되면서 시작되었다. 1985년에는 재가(在家)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정립회관 휠체어농구팀이 창단되었고, 그 해 국내 최초의 휠체어농구 경기가 정립회관에서 개최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 경기는 1985년 제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였다. 이후 홀트, 충남, 대구 등 많은 팀이 창단되었다.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 대회에서 주최국의 이점을 안고 출전하였으나 짧은 역사, 경기력 부족 등으로 인하여 16개국 중 13위를 하였고, 이후 선수층 및 경기력의 향상으로 1998년 방콕(금메달), 2002년 부산(은메달), 2006년 말레이시아(동메달), 2014년 인천세계선수권대회(6위), 2014년 인천장애인아시안게임 금메달의 높은 성적을 이루었다.

국내 대회로는 충무기 쟁탈 전국휠체어농구대회(1989년)를 시작으로, 홀트배 전국휠체어농구대회(1995년), 회장배 전국휠체어농구대회(1997년), 전국휠체어농구연맹전(1997년), 대구컵 전국휠체어농구대회(1998년), 우정사업본부장배, SK텔레콤배 등의 단일대회와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그리고 장애인스포츠 최초의 리그인 휠체어농구리그(2015년 11월)가 있다.

휠체어농구규칙

2,3,4 쿼터에서는 점프볼 없음
1쿼터만 센터써클에서 토스로 경기 개시한다. (얼터네이팅 방식)

휠체어농구규칙

2,3,4 쿼터에서는 점프볼 없음
1쿼터만 센터써클에서 토스로 경기 개시한다. (얼터네이팅 방식)

휠체어농구규칙
휠체어농구규칙

득점 (슛 성공) : 프리드로우에 의한 슛 성공 ▶ 1점 / 3점 라인 안쪽에서 던진 슛 성공 ▶ 2점 / 3점 라인 바깥쪽에서 던진 슛 성공 ▶ 3점

휠체어농구규칙

주요반칙 : 사이드라인, 앤드라인 가까운 경계선 밖에서 드로인

휠체어농구규칙

파울시 슛 성공 : Free throw(자유투)를 한 차례 준다.
파울시 슛 실패 : 자유투를 준다.(두 차례, 세 차례)

휠체어농구규칙

팀 파울 (Team Foul)
한팀의 반칙이 매 쿼터 각각 4회를 넘은 후의 반칙에는 2번의 자유투를 준다.

휠체어농구규칙

백 패스 (Back pass)
프론트 코트에 옮겨진 볼을 백 코트의 자기편에게 던지는 것은 안된다.

휠체어농구규칙

공격자는 제한구역 안에 3초 이상 머무를 수 없다.

휠체어농구규칙

공격에는 시간제한이 있음
하프라인(14m)는 8초 이내, 앤드라인(15M)는 24초 이내

등급 분류

선수 등급제도(Player Classification System)란?

휠체어농구의 등급분류는 선수들이 농구의 기본동작(휠체어 밀기, 드리블, 슛, 패스, 리바운드와 접촉에 대한 반응)을 시행하는 신체적인 능력에 기초해서 기능등급으로 나누는 것이다. 휠체어농구에서 등급분류의 목적은 모든 선수들에게 팀의 주전으로 뛸 수 있는 동등한 기회와 권리를 주도록 하는데 있다. 휠체어농구 선수가 되는 자격은 지속적으로 선수가 속도를 조절하며 안전과 안정성 있게 뛰거나, 방향전환, 점프를 할 수 없는 하지의 기능감소에 영구적인 장애가 있어야 한다.


KWBL 선수 등급제도

▶ 선수들은 1.0(가장 낮은 신체적 기능을 가진 선수등급)에서부터 4.5(가장 좋은 신체적 기능을 가진 선수등급)까지 등급으로 나눠진다. 이 등급은 선수들의 “기능등급” 이 되며 정식경기에서 코트에 한 팀 다섯 명의 선수 기능등급의 합이 14포인트를 넘어서는 안 되며, 14포인트 이하는 허용된다.

▶ 선수등급분류 체계와 ‘팀 밸런스’ 규칙으로 인하여 IWBF는 팀 간의 기능적인 잠재력을 동등하게 했고 경기의 결과는 오직 선수의 체력과 기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되었다.

▶ IWBF의 주요 공식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서 각 선수는 IWBF의 선수 등급 위원회에서 발행한 공식 선수 등급 ID 카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선수 등급 ID 카드는 IWBF에서 임명한 등급 분류사가 공식 경기 시에 발행해줄 수 있으며, 패널은 공식 선수 확인 핸드북에 기재된 원칙에 따라 등급 분류위원(Classifier)의 검사에 따라 임명된 자이다. 이 ID 카드에는 기타 정보와 함께 선수에게 주어진 포인트 등급을 기재한다.

▶ 선수 등급 분류 확인을 위한 규정에 따라 이 포인트 점수는 플레이오프전 Play-off까지 대회 도중에 변경될 수 있다.

▶ 점수 테이블에 있는 커미셔너가 ID 카드의 확인과 선수에게 부여된 정확한 포인트 점수의 확인에 대한 책임을 진다.

▶ IWBF의 정식 선수 확인 코드는 1.0, 1.5, 2.0, 2.5, 3.0, 3.5, 4.0, 4.5이다.
경기에 참가하는 각 팀의 선수들의 포인트 점수의 합산치가 14점 상한선을 넘어서는 안 된다.

경기장 규격

휠체어농구 경기장 규격
경기용 휠체어
  • ▶ 휠체어 바퀴 지름 : 최대 69 cm
  • ▶ 동휠체어 수평보호바 : 최대 11 cm
  • ▶ 등급별 휠체어 좌석 높이
    1.0∼3.0등급의 선수 : 최대 63 cm
    3.5∼4.5등급의 선수 : 최대 58 cm
경기용 휠체어
공인구
  • ▶ 지름 : 75 cm∼76 cm
  • ▶ 무게 : 600 g ∼626 g
  • ▶ 압력 : 1.8 m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튀어오르는 공의 위쪽 높이가 1.2 m ∼ 1.4 m되도록 공기가 넣어져야 한다.
공인구